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프로젝트에서 AWS Topology를 Terraform 코드로 작성(IaC)해보면서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공통적인 구조를 어떻게 작성을 할 것인가에 대해 방향을 잡아가면서 정리한 내용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에 있어, AWS network topology 구성

우선 AWS의 서비스를 활용해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함에 있어, 전체적인 AWS network topology의 구성은 중요하다. 실습을 했을때는 default VPC, Subnet에 각 각의 AWS 서비스를 활용해서 network topology를 구성을 했지만, 실무에서는 default vpc와 subnet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고 한다.
실제 업무에서는 Production에서 각 각의 서비스별로나 네트워크 보안 정책에 따라서 VPC를 나눠서 관리하고, 세팅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한다. (DE 현직자 오프라인 수업을 통해 배웠다.
)
AWS 서비스 중에서 완전 관리형 서비스가 아닌 서비스들은 VPC를 타지만, 완전 관리형 서비스의 경우에는 VPC가 아닌 별도의 AWS Zone(AWS 전용 네트워크 라인)을 탄다고 한다.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각 프로젝트별로 하나의 AWS Network Topology가 나오기 때문에 위의 구성과 같이 전체적으로 구성을 해보려고 한다.